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우박피해에 따른 농작물 관리 대책
1. 우박이란
- 우박(Hail)은 공중의 착빙현상에 의하여 생기는 것으로 발달된 적란운에서 내림.
적운이 발달되어 구름꼭대기가 -5 ~ -10℃정도에 달하면 빙정이 생기고 습도가
높은 구름에서 급속도로 성장되어 눈의 결정이 된 후 떨어지기 시작. 낙하도중
상승되는 많은 수의 과냉각된 구름방울과 충돌하여 얼어붙어 점차 더 성장한 상
태로 지상에 떨어짐.
- 우박은 구름층의 통과거리가 길수록 크게 성장. 큰 우박이 생기기 위해서는 강한
상승기류에 장시간 떠 받쳐져 있어야 함. 강한 뇌우시에 큰 우박이 내리는 것도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함
- 늦은 봄철에서 여름철로 접어드는 5~6월과 여름철에서 가을철로 접어드는 9~10월
에 많음.
- 우박이 내리는 범위는 너비가 수Km에 불과하며, 통과경로에 따라서 가늘고 긴 띠
모양이 됨.
- 한 지점의 계속시간은 보통 수분 정도이나 30분이상의 곳도 있음.
2. 우박피해 대책
가. 5~6월 우박
작물별 | 피해양상 | 대 책 |
벼 | 잎 파열 | ○도열병약 살포로 이병 예방 |
참 깨 | 잎 약간 파열 | ○돌림병예방 약제 살포 |
생장점 절단 | ○회복 불가능시 보파 또는 재파 | |
줄기 절상 | ○생육기에 따라 타작물 보파 또는 대파 | |
땅 콩 | 잎 약간 파열 | ○살균제 살포로 병해 예방 |
생장점 절단 | ○타작물을 대파 또는 재파종 | |
줄기 절상 | ○타작물을 대파 또는 재파종 |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농정축산과 농업정책팀 (☎054-679-681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