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금봉1리
주소봉화군 봉성면 금봉1리
상세내용
- 지 명 : 구렁마을ㆍ구름마을(雲村)
金峰(금봉) 남쪽에 있는 마을로서 마을이 언덕 밑 구렁에 있다고 구렁마을이라 하기도 하고, 옛날 교통의 요지로서 재물을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여드는 곳이란 뜻에서 구름마을(雲村<운촌>)이라고도 한다.
- 지 명 : 덕창(德昌)
창평천에서 내려오는 물과 동양쪽에서 내려오는 물이 합수되는 지점 아래쪽에 위치한 마을로 장마 때가 되면, 마을 앞들이 홍수의 피해가 극심하여 마을 사람들이 항상 걱정을 하였다고 하여 앞들을 걱정들이라 불렀고 이 마을을 걱정마을이라 불리어 오다가 1959년 금봉저수지 준설과 제방보수로 농토가 수리안전답이되고 농사가 잘되는 비옥한 토지로 바뀌어서 마을사람들에게 큰 덕을 주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덕창이라 불렀다고 한다.
- 지 명 : 들목ㆍ야목(野木)
寧海李氏(영해이씨)가 가장 먼저 이 마을에 들어와 살기 시작한 부락으로 영해이씨의 집성촌을 이루어 살기 시작하여 차츰 아래마을까지 번창하였고 이골은 들이 넓고 주위에 나무들이 많아 들목이라 칭했다는 설과 골안쪽에 사람들이 많이 살아 사람들이 떠드는 소리가 커서 들썩들썩한다는 뜻에서 들목이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는데 어느 것이 정설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 지 명 : 오르정ㆍ오정(梧亭)
금봉 중앙에 있는 마을로서 오가는 행인들이 비교적 많은 편이며 寧海朴氏(영해박씨)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살면서 居堂亭(거당정)이라는 오동나무 정자를 지어 오가는 행인들이 이곳에서 쉬어 가기도 했는데 행인들이 오동나무로 정자를 지었다고 이 마을을 오정(梧亭)이라 불렀다는 유래가 있고 또 다른 일설에 의하면 현 금봉2리 방면으로 지나가는 행인들이 오르는 길에 정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오르정이라 한다는 얘기도 있다. 이곳에는 신문보살이라는 유명한 무당이 살고 있어 각 지방에서 점을 보러오는 사람들이 많은데 신문을 찢어서 그 사람의 길융화복을 점친다고 한다
- 지 명 : 갱화원(更化院)
1959년 전 봉화문화원장 정태중씨가 봉화읍 거촌리 사그막골과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음성나환자들을 일반 주민?들에게 미치는 위화감 해소와 음성나환자들의 자활의지 고취와 한 곳에 정착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하여 안동 카톨릭재단의 지원을 받아 금봉리 177번지에 집단촌을 형성하였으며, 신체적인 결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갱화원이라 불렀으며 현재 13가구가 양계와 양돈으로 일반인 못지 않게 자활의지를 가지고 열심히 생활하고 있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54-679-633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