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질병관리본부의 일본뇌염 유행예측조사결과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 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일부지역(제주, 부산)에서 50% 이상임을 확인함에 따라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습니다.
모든 모기가 일본뇌염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 일본뇌염에 대한 건강정보를 주의 깊게 보시기 바랍니다.
▷ 일본뇌염에 걸리면 ?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무증상이나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된다.
♠ 임상증상
-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
- 아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
- 회복기에는 언어장애, 판단력저하, 사지운동저하 등 후유증이 발생
▷ 일본뇌염을 예방하려면 ?
♠ 아동의 경우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받는다.
- 기초접종(3회) : 1차(생후 12∼24개월), 2차(1차접종후 7∼14일 사이), 3차(2차접종후 12개월후)
- 추가접종(2회) : 만 6세, 만 12세
♠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의복이나 야외활동에 주의한다.
♠ 모기 서식처인 미나리꽝, 빗물고인 웅덩이 등을 제거하고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한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보건정책과 보건행정팀 (☎054-679-671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