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제도안내

정보공개제도

국가기관ㆍ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업무수행 중 생산하여 보유 및 관리하는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국정운영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정보공개법의 제정ㆍ시행
  • 정보공개법의 제정(1988. 1. 1 시행)
    • 국민의 알권리를 확대하고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1996. 12. 31(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을 제정ㆍ공표하고 1998. 1. 1시행하였습니다.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의 개정(2021. 12. 23. 시행)

정보공개 대상기관 중 공공기관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국민의 알권리 확대 및 행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공개로 분류된 정보는 국민의 청구가 없더라도 사전에 공개하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ㆍ보완하여 국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2020. 12. 22. 일부개정하였습니다.

정보공개제도 주요 내용

정보공개청구

정보공개청구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청구인의 청구에 의하여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 청구인
    • 모든 국민 : 모든 국민은 본인 또는 그 대리인을 통하여 공공기관에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법인ㆍ단체 : 법인과 단체의 경우 대표자의 명의로 공공기관에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외국인 : 국내에 일정한 주소를 두고 거주하거나, 학술·연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체류하는자, 국내에 사무소를 두고 사무소를 두고 있는 법인 또는 단체에 한해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대상기관 : 국가기관
    •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중앙행정기관(대통령 소속 기관과 국무총리 소속기관을 포함) 및 그 소속기관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공공기관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
  • 청구 가능 정보
    •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서(전자문서 포함)·도면·사진·필름·테이프·슬라이드 및 기타 이에 준하는 매체 등에 기록된 사항
    •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상의 기록물과의 관계
      • 공공기관이 업무와 관련하여 생산 또는 접수한 문서·도서·대장·카드·도면·시청각물·전자문서 등 모든 형태의 기록정보자료인 기록물은 모두 정보공개청구의 대상이 되는 정보에 해당합니다.
사전 공표 정보

사전 공표 정보는 국민들이 정보공개를 청구하기 전에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제적, 능동적으로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 사전공표정보 대상
    • 비공개 대상정보 외에 국민들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정보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및 제2항
      • 국민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관한 정보
      • 국가의 시책으로 시행하는 공사(工事) 등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 관한 정보
      • 예산집행의 내용과 사업평가 결과 등 행정감시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
      • 그 밖에 공공기관의 장이 정하는 정보
  • 사전공표정보 공표 방법
    •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정보를 공개합니다.
    • 정보공개시스템에서는 사전공표정보의 목록을 제공합니다.
원문정보 공개

원문정보공개는 공무원이 업무 중 생산한 정보를 별도의 국민의 청구가 없더라도 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하여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정보 : 공공기관에서 전자적으로 생산하여 보유 및 관리하는 정보 중 공개로 분류된 문서
  • 주요내용 : 공공기관에서 생산한 전자정보를 변환없이 원문 그대로 공개
  • 공개방법 : 정보통신망을 활용한 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하여 공개

정보공개 청구 절차

정보목록검색
  • 원문조회
  • 정보공개청구
공개여부결정
정보공개(10일)
정보공개 청구

청구인은 원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정보공개시스템 (http://www.open.go.kr/)에서 원문을 조회하거나 이를 보유 및 관리하는 공공기관에 정보공개 청구서를 기재하여 제출합니다.

  • 청구서 기재사항
    • 청구인의 이름·주민등록번호 및 주소
    • 청구하는 정보의 내용·정보형태·공개방법 등
      • 청구인이 공공기관에 우편·팩스 또는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거나 통합정보공개시스템(http://www.open.go.kr/)을 통해 청구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청구를 받은 공공기관은 정보공개처리대장에 기록하고 청구인에게 접수증을 교부하고, 접수부서(봉화군청 총무과)는 이를 담당부서 또는 소관기관에 이송하게 됩니다.
공개여부의 결정

공공기관은 청구를 받은 날부터 “10일”이내에 공개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10일의 범위내에서 연장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은 청구정보가 제3자와 관련이 있는 경우 제3자에게 통보하고 필요한 경우 그 의견을 청취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 제3자의 비공개 요청
    • 공개청구된 사실을 통보받은 제3자는 의견이 있을 경우 통지 받은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당해 공공기관에 공개하지 아니할 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제3자의 비공개 요청
    • 정보공개심의회 심의 : 공개청구된 정보의 공개여부를 결정하기 곤란한 사항과 이의신청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정보공개심의회를 설치 ·운영합니다.
    • 공공기관이 정보를 비공개로 결정한 때에는 비공개사유·불복방법 등을 명시하여 청구인에게 지체없이 문서로 통지하여야 합니다.
  • 정보공개 방법
    • 문서, 도면, 카드, 사진 등 : 열람 또는 사본의 교부
    • 필름, 녹음, 녹화테이프 등 : 시청 또는 인화물·복제물 교부
    • 마이크로필름, 슬라이드 등 : 시청·열람 또는 사본·복제본의 교부
    • 파일형태의 전자적 정보 : 전자우편(e-mail)을 통한 송부, 매체(디스켓, CD)에 저장하여 제공, 열람·시청, 사본·출력물 제공

불복 구제 절차 및 방법

이의신청
  • 청구인의 이의신청
    • 청구인은 공공기관의 비공개 또는 부분공개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공개여부의 결정통지를 받은 날 또는 비공개의 결정이 있는 것으로 보는 날부터 “30일” 이내에 공공기관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이의신청 방법
    • 이의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인터넷으로도 가능)
    • 신청인의 이름 ·주소 및 연락처, 정보공개여부 결정의 내용, 이의신청의 취지 및 이유 등을 기재합니다.
  •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
    • 공공기관은 이의신청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결정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7일 이내의 범위에 서 결정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 각하 또는 기각결정을 하는 경우 행정심판 또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은 이을 고지하여야 합니다.
  • 제3자의 이의신청 및 권리보호
    • 제3자로부터 비공개요청을 받은 공공기관이 공개결정을 하는 경우 제3자는 공개통지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공공기관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공공기관은 공개결정일과 공개실시일 사이에 최소한 30일의 간격을 두어야 하며, 제3자는 이 기간 내에 행정심판 소송제기와 동시에 집행정지를 신청하여 공개실시에 대항 할 수 있습니다.
행정심판
  • 심판청구
    • 청구인이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공기관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이의신청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청구 할 수 있습니다.
    • 심판청구서는 피청구인인 행정청 또는 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 다만,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외의 공공기관의 결정에 대한 감독행정기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 하게 됩니다.
  • 심판청구기간
    •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합니다.
    •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180일”을 넘겨서는 아니됩니다.
  • 재결
    • 재결은 피청구인인 행정청 또는 위원회가 심판청구서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1차에 한하여 “30일”의 범위내에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행정소송
  • 소송제기
    • 청구인이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공기관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이의신청 및 행정심판 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행정소송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제소기간
    •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은 날 또는 행정심판을 거친 경우 재결서 정본의 송달을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합니다.
    •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은 날 또는 재결이 있은 날부터 1년이 지나면 제기할 수 없습니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총무과 총무팀 (☎054-679-657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