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기상상황
○ 과수 개화기에 영향이 큰3월 중순까지의 기온은 3.3℃로 평년대비 1.4℃높았고, 강수량은 74.6㎜로 평년대비 32.9% 낮음
○ 일조시간은 520.7시간으로 평년대비 10.1% 증가함
□ 주요 과종 만개기 예측 결과
○ (배) 지역별로 만개기는 평년대비 2∼9일 빠를 것으로 전망(‘신고’ 기준)
* 지역별 만개 예측일: 울산(4.2.∼4.), 전남 나주(4.6.∼8.), 충남 천안(4.16.∼18.)
○ (복숭아) 지역별로 만개기는 평년대비 1∼10일 빠를 것으로 전망(‘유명’ 기준)
* 지역별 만개 예측일: 경북 청도(4.2.∼4.), 전북 전주(4.8.∼10.), 강원 춘천(4.20.∼22.)
○ (사과) 지역별로 만개기는 전년보다 10일 이상 빠를 것으로 전망(‘후지’ 기준)
* 지역별 만개 예측일: 경북 군위(4.6.∼8.), 경남 거창(4.7.∼9.), 전북 장수(4.12.∼13.), 충북 제천(4.14.∼16.), 경북 청송(4.15.∼17.), 강원 양구(4.26.∼27.)
* 평년: 과거 30년 동안의 평균기온의 평균
** 배(신고), 복숭아(유명) 만개기 예측결과(2023. 3. 16.기준)
<저온 경과 시 적극적 대응>
○ 방상팬에 의한 송풍법(送風法)
- 철제 파이프 위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날개를 부착되어 온도가 내려갈 때 모터를 가동시켜 송풍시키는 방법
- 작동온도는 발아 직전에는 2℃ 전후, 개화기 이후에는 3℃ 정도에서 설정하고 여러 대가 동시에 가동되지 않도록 제어기에서 5~10초 간격을 둠
- 가동 정지온도는 해가 뜬 이후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온도 보다 2℃ 정도 높게 하여 줌
○ 물뿌려주기(撒水法)
- 스프링클러로 물을 뿌려 얼음으로 변할 때 나오는 열을 이용하는 방법
- 과원 내 온도가 1~2℃되면 살수시스템을 가동하고 일출 이후에 중단
* 기온이 빙점일 때 살수를 중지하면 나무온도가 기온보다 낮아 피해가 크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단되지 않도록 충분한 물량이 확보되어야 함
○ 연소법(燃燒法)
- 메탄올, 젤, 목탄, 액체파라핀 같은 연소자재를 태워 과원 내 기온을 높여주는 방법
- 10a당 점화수는 20개 정도로 하고 통의 배치는 과원 주위에는 많이, 안쪽에는 드물게 배치하여 과원 내부온도가 고루 올라가도록 연소통 배치
* 산불 및 인근 과수가 불에 데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해야 함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법전면 총무팀 (☎054-679-5313)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