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1. 사업대상자
○ (대상지역) 농촌 지역 마을단위(참여농경지 최소 20ha 이상)
- 농촌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제5호에 따른 농촌
* 읍․면의 지역 또는 읍․면 외 지역 중 농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지역
- 마을 :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마을
* 농촌지역으로서 「지방자치법」 제3조제3항에 따른 동(洞)․리(里) 또는 동 법 제4조의2제4항에 따른 행정동․리
○ (사업대상) 사업지 내 마을의 농업인과 주민
- 20인 이상이 참여하고 5명 이상으로 이루어진 주민협의체가 구성된 곳
* 사업지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사업지에 소재한 농지를 경작하는 자도 활동참여 가능
* 동일 시․군 내 동일 수계에 위치한 마을은 함께 신청 가능
2. 지원자격 및 요건
○ 주민협의회 구성 및 행정담당자 지정 등이 갖춰진 사업대상 지역 마을
구분 | 주민협의회 | 행정담당자 |
역할 | 사업추진 의견수렴, 결정된 사항에 대해 적극적인 준수 및 참여유도, 사업에 대한 이견·갈등 조정, 사업관련 교육 등 | 행정협의회를 운영, 주민대상 활동 이행 독려·사업점검, 예산집행 등 사업 관리 |
구성 | 사업참여 농업인·주민(5인이상, 10인 내외) | 지자체 소관 부서 및 담당 공무원 |
운영 | 사업관계자(참여 주민, 시·군 담당자) 요청 및 필요 시 수시로 회의 개최 | - |
※ 신청제한 : 농식품부에서 지원한 “농촌지역 개발 및 공동체 활성화 관련 사업대상자”로서 사업추진과정에서 주민갈등 등으로 인한 사업중단, 사회적 물의 발생에 따른 보조금 환수 등 제재를 받았던 마을은 사업신청 대상에서 제외
4. 지원 항목 구분
○ 주민활동비 : 농업환경보전을 위한 활동 중 개인활동* 과 마을 공동체 활동 이행시 활동별 기본 단가에 따라 주민들에게 지급되는 비용 및 사업참여자 안전보험 가입비**
* 개인활동비는 2~3년차는 당해연도 총사업비 대비 15% 이상, 4년차 20% 이상, 5년차는 25% 이상이 되도록 편성(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 농식품부와 사전 협의), 개인활동비 인당 한도는 200만원/年
** 안전보험은 개인 실비손해보험 미가입자에 한해 가입 및 사업비 집행 허용
○ 사업관리운영비* : 농업환경 조사·진단, 마을참여 주민(농어민) 대상 교육․컨설팅, 우수사례마을 견학, 현장 모니터링 반장 운영비, 주민활동 이행에 필요한 사전준비 활동비용**, 사업시행계획 수립 등에 필요한 비용
* (사업관리운영비) 1년차 100%(주민활동비로 집행 불가. ‘휴경기 녹비작물 재배 및 밭토양 환원 활동’의 경우 1년차에 동계 녹비 파종 후 2년차에 활동비 집행 가능), 2~5년차 총사업비의 30% 이내로 편성집행(최소 35백만원, 최대 6천만원/年)
** (사전준비 활동비용) 현장지원조직, 주민협의회를 통해 적정금액, 활동범위 등 사전협의
※ 지원제외 : 공익직불제 등 각종 직불제, 친환경농자재, 지역개발 등 타 사업을 통해 기 지원받는 활동비, 각종 장비 및 시설 등 자산 취득비, 건물 임차비용 등
○ 전문지원조직 운영비 : 사업의 성과관리, 교육, 이행평가 지원 등에 필요한 비용
* (역할) 지자체 현장지원조직의 운영 지원, 지자체 사업계획 및 활동에 대한 성과점검, 지자체․현장지원조직 대상 교육 등 사업 전반 운영 지원
<표준 개인활동 및 공동활동(44개)>
※ 표준활동 외에도 현장에서 제안한 개인/공동활동을 농식품부 심의를 거쳐 추가 가능
개인활동(26개)
분야 | 단위과제 | 세부활동 | 구분* | 지급단가 |
토양 | 1.적정양분 투입 | ①완효성 비료 사용하기 | 필수 | 2~5만원/10a |
②심층(深層) 시비[시범] | 선택 | 1만원/10a | ||
2.외부양분 투입 감축 | ①농사 후 남은 농업부산물 잘라 논․밭에 환원 | 필수 | 4~7만원/10a | |
②휴경기 녹비작물 재배 및 토양환원 | 필수 | 6~7만원/10a | ||
③논 배수물꼬 설치 및 물관리 | 필수 | 1~2만원/10a | ||
3.토양침식 및 양분유출 방지 | ①볏짚 등 농업부산물로 경사진 밭 덮기 | 선택 | 6~10만원/10a | |
②경사진 밭 둘레에 빗물이 돌아가는 이랑 만들기 | 선택 | 4~6만원/10a | ||
③경사진 밭 끝에 초생대 설치하기 | 선택 | 4~6만원/10a | ||
경사진 밭 끝에 침사구 설치하기 | 필수 | 5~6만원/10a | ||
논에서 써레질하지 않고 이앙하기[시범] | 선택 | 2~3만원/10a | ||
⑥밭담(돌담) 정비·관리하기[시범] | 선택 | 6~8만원/10a | ||
생태 | 1.농약사용 저감 | ①천적으로 해충 방지하기 | 선택 | 5~6만원/10a |
②제초제 없이 잡초 제거하기 | 필수 | 5~7만원/10a | ||
과수원에서 초생 재배하기 | 선택 | 5~7만원/10a | ||
태양열로 토양 소독하기 | 선택 | 5~7만원/10a | ||
시설하우스에 방충망 설치하기 | 선택 | 5~7만원/10a | ||
⑥트랩 설치하여 해충 방제하기[시범] | 선택 | 1∼2만원/10a(1년차)* 4∼5만원/10a(2∼5년차)* | ||
2.농업생태계 보호 | ①둠벙(물웅덩이) 조성 및 관리 | 선택 | 40~60만원/개소 (1년차)** | |
②왕우렁이 유출방지 관리 | 선택 | 5~7만원/10a | ||
밀원식물 식재하기[시범] | 선택 | 8~9만원/10a | ||
동절기 논물 가두기[시범] | 선택 | 1만원/시간/인 | ||
대기 | 1.온실가스 감축 | ①경운 최소화 | 선택 | 3~5만원/10a |
②바이오차 투입 | 선택 | 5~10만원/100kg | ||
논 가을갈이[시범] | 선택 | 5~6만원/10a | ||
2.축산악취 저감 | ①축산악취 저감을 위한 미생물 제제 사용하기 | 선택 | 50만원/농가 | |
폐기물 | 폐기물 저감 | ①생분해성 멀칭 농자재 사용하기[시범] | 선택 | 85만원/ha |
* 왕우렁이 유출 방지를 위한 차단망·포집망 등 자재 구매 비용은 실비 별도 지원
** 둠벙(2~5년차) 지급단가 : 손실보상(2만원/개소)+관리비(1만원/시간/인)
상세사항 붙임 참조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춘양면 총무팀 (☎054-679-5412)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