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몽룡생가
계서당
조선 중기의 문신 계서 성이성(溪西 成以性)선생이 건립하여 자제들의 훈학과 후학 양성에 힘쓰던 곳이다.

- 성이성은 창녕 사람으로 남원 부사를 지낸 부용당 성안의 선생의 아들로, 인조5년 문과에 급제하여, 진주부사 등 고을 수령 6개, 어사 4번을 지냈다.
- 연세대학교 설성경 교수 논문에 의하면
- 춘향전 이도령의 본래 이름은 성이성 (1595~1664)
- 조선 인조, 광해군때의 실존인물로 남원부사로 부임한 아버지를 따라 전라도 남원에 머무르는 동안 기생을 사귀었고, 수십년 세월이 흐른 뒤 암행어사가 되어 호남지역을 순행하다가 남원을 들렀다.
- 한국 최초의, 최고의 로맨스이자 4대 국문소설의 하나로 꼽히는 "춘향전" 의 탄생 비밀이 설성경 교수의 끈질긴 추적끝에 발견
- 성이성의 4대 후손 성섭이 지은 "교와문고 3권" 에 변사또 잔치연에서 지은 금준미주시 (암행어사 출주시) 와 동일한 시 발견
암행어사 출두시금준미주(金樽美酒) 천인혈(千人血)이요.옥반가효(玉盤佳肴) 만성고(萬姓膏)라.촉루락시(燭淚落時) 민루락(民淚落)이요가성고처(歌聲高處) 원성고(怨聲高)라.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54-679-633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