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연혁개요
봉화군은 산세가 수려하고 선비의 정신이 깃들은 예절의 고장이다. 인구 3만여명에 1읍 9개면으로 전체면적의 83%가 오염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자연 경관이 빼어나고 특산물이 많다. 특히,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청량산을 위시한 명산과 국보 및 보물들이 산재해있다.
삼한시대 ~ 2015년
- 삼한시대
- 진한의 기저국에 속하였음
- 삼국시대
- 현재의 봉성면 일대가 고구려의 내기군 고사마현에 속하였음.
- 신라5대 파사왕 (80~112)
- 신라 영토에 속하였음
- 신라 35대 경덕왕(742~765)
- 내령군 옥마현으로 개칭
- 고려 8대 현종(1010~1031)
- 고려 8대 현종(1010~1031)때 봉성현으로 개칭
- 조선26대 고종 32년 (1895)
- 조선26대 고종 32년(1895)에 봉화현을 봉화군(奉化郡)으로 개칭
- 조선순종1년(1907)
- 조선순종1년(1907)에 군청사를 봉성에서 춘양으로 옮겼음
- 1914년
- 군청을 춘양에서 봉화읍 내성리 285번지로 옮기고 15개면을 9개면으로 개칭.
- 1962년
- 11월 : 춘양면 덕구리와 천평리를 강원도 영월군에 편입
- 1963년
- 3월 : 석포출장소를 설치하여 소천면 석포리, 대현리, 승부리를 관할토록 함.
- 1973년
- 7월 : 법전면 소로리가 춘양면에 편입되고, 상운면 두월리와 내림리를 영주군 이산면으로 편입.
- 1979년
- 5월 1일 봉화면을 봉화읍으로 승격
- 1983년
- 2월 : 명호면 신라리를 상운면으로 편입하고, 소천면 석포출장소를 석포면으로승격하고, 10월에 봉화읍 포저2리를 포저2·4리로 분동함.
- 1991년
- 1월 : 봉성면 원둔리를 봉양리로 명칭을 변경함.
- 1994년
- 7월 : 춘양면 우구치1·2리를 우구치리로, 소천면 고선1·2리를 고선2리로, 고선3리를 고선1리로, 명호면 북곡1·2리를 북곡리로 통합.
- 2000년
- 1월 : 석포면 대현1·2리를 대현1리로, 대현3리를 대현2리로, 재산면 현동2·4리를 현동2리로,남면 1·2리를 남면리로, 갈산1·2리를 갈산1리로, 갈산3·4리를 갈산2리로, 상리1·2리를 상리리로, 상운면 문촌1·2리를 문촌리로, 신라1·2리를 신라리로 통합.
- 2002년
- 11월 : 봉화읍 포저리를 내성리로 명칭을 변경함.
- 2004년
- 1월 12일 군청사를 봉화읍 내성리 285번지에서 내성리 537번지로 신축 이전함.
- 2015년
- 6월 : 봉화읍 내성3리 구역 중 일부를 내성5리로 분동함. 소천면 분천리 '도호'지역을 현동3리로 편입함.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기획예산실 기획팀 (☎054-679-602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