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민방공경보발령시국민행동요령

  • 민방공 경보 발생시 행동요령. 민방공 경보체제 - 민방공 경보는 적의 침공에 의하여 전국 또는 일부지역에 항공기나 유도탄, 지·해상 병력에 의한 공격이 예상되거나 공격이 있을 경우 또는 화생방에 의한 공격이 있을 경우에 그 사실을 국민들에게 신속히 전파하려는 것으로 정부에서는 전국적인 민방공 경보체제를 만들어 준비하고 있습니다. 경계경보 ▷ 사이렌으로 1분단 평탄음 -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 즉시 대피를 준비하고 어린이와 노약자는 미리 대피합니다. 공습경보 ▷ 사이렌으로 3분간 파상음 - 적의 공격이 긴박하거나 진행 중일 때. 대피소 및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질서있게 대피합니다. 화생방경보 ▷ 음성방송 - 적의 화생방 공격이 있거나 예상될때. 방독면, 마스크, 손수건, 보호의 등으로 호흡기와 몸을 감싸 보호합니다. 경보해제 ▷ 음성방송 - 공격 직후 및 추가공격이 예상되지 않을 때. 부상자 구조에 동참하고 재차 공습에 대비 정부 안내방송을 계속 청취합니다. 비상대비상식 NOTE! 비상시에는 민방공 경보에 귀 기울여 주세요. 경보방송은 사이렌 울림 또는 음성방소(경보단말), 라디오-TV방송을 실시하고 보조수단으로 이동멀티미디어(DMB) 및 휴대폰 긴급재난문자 서비스(CBS)를 실시합니다.
  • 경계경보시 국민행동요령. 경계경보 발령시 가스 차단, 전기코드 분리, 비상물품 대피소로 이동, 개인보호장비 정비. 즉시 TV,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며 정부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 밤에는 불을 꺼야 하며 불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차단해야 합니다. 어린이와 노약자는 상황에 따라 미리 대피하며, 평상시 준비해 둔 비상용품은 대피소로 옮겨야 합니다. 화재위험이 있는 석유와 가스통은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외부 가스밸브를 차단하며, 전열기의 코드를 뽑아야 합니다. 화생방 공격에 대비하여 방독면 등 개인보호장비를 점검하고, 음식물과 식수 등은 뚜껑이나 비닐로 덮어야 합니다. 극장, 운동장, 음식점 등의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시설에서는 영업을 중단하고 손님들을 대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TIP. 영업장에서는 영업을 중단하고 손님들에게 경보 전달 및 대피 시켜주세요! 공습경보시 국민행동요령. 공습경보 발령시 지하 대피시설로 이동, 고층건물에서 대피. 지하 대피시설, 민방위 대피소 등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고층건물이라면 지하실 또는 아래층으로 대피합니다. 화생방 공격에 대비한 방독면 등 개인보호장비와 생활필수품 등의 비상대비물자를 가지고 대피합니다. 운행 중인 차량은 가까운 빈터나 도로 오른쪽에 세우고 모두 하차하여 대피하도록 합니다. 대피 후에는 계속 정부 방송을 들으며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 화생방경보 발령시 국민행동요령. - 화생방 경보 발생 시, 화생방 일반 방독명을 착용하고, 긴 옷 등을 활용하여 피부노출을 최소화한 후 안내에 따라 비오염지역으로 신속히 대피하여야 합니다. - 시간적인 여유가 없거나 대피가 제한될 경우 건물의 저층 보다는 상층부로 이동하고, 공조기 차단, 창문 밀폐 등의 조치를 통해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을 최소화하여야 합니다.(단, 옥상 동의 노출된 고지대 대피 금지) - 비오염지역으로 대피 시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공조기 차단, 창문 밀폐 등의 조치를 취하고, 비닐포장 된 음식들과 밀봉된 식수를 가지고 대피합니다. - 기타 상황은 정부의 안내(라디오 등) 및 조치에 따릅니다. 핵·방사능 피해 - 민방위 대피소로 신속히 대피하되, 미처 피하지 못했을 경우 핵폴발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엎드리되 양손으로 눈·귀를 막고 입은 벌리며 배는 바닥에 닿지 않도록하여 신체를 보호해야 합니다. 생물무기 피해 - 위생에 힘쓰며 해충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끓인 물과 깨끗한 음식물만 섭취합니다. 화학무기 피해 - 고층건물에 있다면 되도록 고층부에서 외부의 공기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는 공간으로 대피하고, 외부 공기가 순환되지 않도록 공조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문, 창문 등을 닫아 외부 오염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야 합니다. 비상대피상식 NOTE! 화생방이란? 화학, 생물학, 방사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화생방전은 '화학의','생물학의','방사선학의' 머리글자를 따라서 화생방(CER) 무기로 약칭하기도 합니다.
  • 일상생활 비상대비 3가지. 대비장소·용품·요령 알아두기 - 공습·포격, 핵·바사능 및 생물·화학무기 피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안전한 대피장소를 확인하고 대피용품을 준비합니다. STEP 01 대피장소 확인 - 생활 반경에서 가장 가까운 민방위 대피소를 '안전디딤돌'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EP 02 대피용품 준비 -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생활필수품·화생방 개인보호장비·비상대비물자를 가정에 준비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하며, 필요에 따라 교체합니다. STEP 03 신속한 대비 - 포격, 항공기, 미사일 등의 공습 상황 등에 의해 공습경보가 발령될 경우, 대피시설 또는 지하공간으로 신속히 이동하고 상황별 대처 요령에 따라 침착하게 행동합니다.
  • STEP 01 대피장소 확인. 상황별 대피장소와 대피요령을 알아봅니다. 일상생활 장소(가정, 직장, 학ㄺ교 등)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대피장소로 이동합니다. 공습·포격 : 민방위 대피소,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대형건물 지하시설 등. 핵·방사능 : 방풍문이 설치된 민방위 대피소, 지하상가, 지하철, 건물 지하. 생물·화학·무기 :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대피장소, 공기순관-정화 시설을 갖춘 대피시설(지하철, 지하상가 등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 야외의 경우 비오염지역으로 신속히 대피하고 시간적 여유가 되지 않을 경우 외부 공기 유입차단이 가능한 고층ㅇ의 실내로 대피. 비상대피상식 NOTE! 학교나 직장, 집 밖에서 공습·포격하면 어디로 대피해야 하나요? 민방위 대피소 표지판을 찾으십시오. '안전디딤돌'앱에서도 가까운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02 대피용품 준비. 유형별 대피용품을 알앙봅니다. 상황에 맞는 대피용품을 확인하고 일상생활에서 준비해 두어야 합니다. 대피용품 준비 - 공습·포격 : 라디오, 건전지, 휴대용 손전등, 양초, 라이터(성냥), 식수, 식량, 취사도구, 침구류, 상비약품 등. 핵·방사능 : 2주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식수와 식품, 제염에 필요한 식염수, 비닐 및 접착테이프 등의 대피소 보강 재료 등. 생물·화학 무기 : 방독면, 마스크, 세제, 비누, 접착·절연 테이프, 비옷, 고무장갑, 고무장화 등. 비상대피상식 NOTE! 방독면이 없는 경우, 손수건, 비닐봉지, 마스크, 물에 적신 의류 등으로 대체하여 조치할 수 있습니다.
  • STEP 03 신속한 대피. 민방공 경보 및 안내방송에 따라 신속히 대피하며 상황별 대피요령을 알아 두고 대비합니다. 민방공 경보시 사이렌 및 음성방송 등의 안내에 따라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운전 중에는 차량을 가까운 빈터나 도로 오른쪽에 세우고 대피합니다. 대피소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낮은 곳에 최대한 엎드려 몸을 숨깁니다. 핵·방사능 피해 - 1. 핵, 방사능 피해 전 : 핵·방사능 피해에 대비하고 신체 피해를 막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① 민방공 경보가 발생하면 지하철, 터널, 건물지하 등의 지하장소나 대피시설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② 대피용품을 휴대하고 대피장소로 이동하여 몸을 보호해야 합니다. ③ 대피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핵폭발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엎드리되 양손으로 눈·귀를 막고 입은 벌리며 배는 바닥에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2. 핵, 방사능 피해 중 : 방사능과 낙진을 피하는 데에 최대한 노력합니다. ①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살펴 낙진 지역에서 신속히 벗어나야 합니다. ② 피폭지역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최대한 지하 깊은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③ 오염장소에서 멀수록, 신체 노출 시간이 적을수록 안전하며 납·콘크리트 벽 등으로 건축된 시설 안으로 대피합니다. ④ 대피 후에는 절연·접착 테이프, 천 등으로 입구를 막아 낙진이 들어오지 않도록 합니다. 3. 핵, 방사능 피해 후 ① 핵폭발, 바람의 방향, 피해 상황의 여부, 가용한 대피소 등을 파악합니다. ② 대피소에서는 라디오를 통하여 정부의 안내를 경청하고, 대피한 사람들은 대표자를 지정하여 질서 있게 대처해야 합니다. ③ 2주 이상 대피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준비합니다. 비상대피상식 NOTE! 핵폭발의 섬광을 봤더라도 폭풍이 오기 전까지 몇 초 안에 바닥에 엎드리거나 건물 안으로 대피해야 합니다.(차폐물로 보호할 수록 안전), 핵폭발을 인지한 것은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니 당황하지 말고, 신속히 대피하고 낙진에 대비해야 합니다. 72시간(3일)이 경과되면 최초 방사능의 1/100 정도로 줄어 간헐적 행동이 가능하고, 2주가 경과되면 일상적 행동이 가능합니다.
  • 생물무기 피해 - 생물무기 피해란 병원균이 포함된 미생물을 무기로 살포하여 나타나는 피해를 말합니다. 생물무기 피해시 전염 및 확산 예방에 노력해야 합니다. 생물무기 피해시 병원균에 따라 고열,호흡곤란, 근육마비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생물무기로는 탄저균, 페스트, 천연두 등이 있습니다. 오염물질 및 환자와의 접촉을 금하고, 방독면이나 마스크 착용 후 오염 지역을 신속히 벗어나야 합니다. 정부방송의 안내에 따라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예방접종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음식물과 물은 끓여서 섭취해야 하며 몸과 생활공간의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화학무기 피해 - 사람 및 동식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유독성 액체, 기체 또는 고체 상태의 화학 무기(화학작용제)살포로 나타나는 피해를 말합니다. 화학무기 피해시 신속히 대피하고 오염물질은 신속히 제거해야 합니다. 1. 실외에 있을 경우 - 방독면이나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적절한 장소로 대피합니다. 방독면, 마스크가 없을 겨우 손수건, 마스크, 옷 등을 이용하여 호흡기를 보호합니다. 2. 실내에 있을 경우 - 출입문, 창문, 환풍기는 접착테이프 등으로 밀봉해야 합니다. 오염된 신체부위는 비누, 세제로 흐르는 물에 1분 이상 씻고, 오염된 옷은 비닐봉지에 밀봉해야 합니다. TIP. 생물·화학무기에는 호흡기 보호, 피부 오염 예방이 우선이에요.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안전재난과 중대재해팀 (☎054-679-6506)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

군민이 주인인 희망찬 봉화분야별정보

민방공경보발령시국민행동요령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s://www.bonghwa.go.kr/open.content/ko/welfare/civil.defense/national.action.tips/ 입니다.

<민방공경보발령시국민행동요령> 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